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그래픽 | 리뷰

별색교정, 색대비, 본인쇄와 인쇄교정의 차이

2003-06-22

요즘은 경기가 불투명하여 디자인 인쇄물에서도 그 바람을 즉각적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화려하고 톡톡튀는 실험적인 시도들은 자제되고 편안한 안정적인 디자인이 눈에 많이 뜁니다.
경기를 그대로 비추는 신호등 같은 것이 디자인이라고 볼 수 있으니까요!
이 기회에 자신을 가다듬고 실력을 쌓는 기간으로 설정하는 것도 좋겠죠?




지난번에 이어 인쇄교정에 대하여 말씀드립니다.

특수한 별색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인쇄교정소의 작업자가 각각의 색을 인쇄주걱과 손으로 직접 게어 별도로 필요한 만큼 만들어 의도한 위치에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에 의뢰자는 원하는 별색을 만들 수 있도록 색샘플을 원고 옆에 붙여 인쇄교정자가 보면서 잉크를 겔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별색을 만드는 것도 기술입니다.
특히 옅은 색은 난이도가 높은 편입니다.
자칫 잘못하면 채도가 떨어져 맑은 색이 나오지 않고 칙칙해지기 쉽습니다. (금, 은, 현광색은 물론이고, 칼라차트에 있는 거의 모든 색이 별색으로 가능합니다.)

별색은 편집 작업할 때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먹과 별색으로 인쇄하거나 포토삽에서 듀오톤으로 작업할 때에는 특히 신경써야 합니다.
칼라를 지정할 때 프로그램에서 지정한 색을 별색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특별히 작업지시를 하여 출력자나 인쇄교정자가 확인하며 작업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포토샵, 일러스트, 쿽 세군데 모두 별색을 동일하게 지정하여 재미있는 그래픽적 효과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가끔 별색효과를 최대한 살리지 못하는 인쇄물들도 있어 안타까울 때도 있습니다.
그리고 포토삽의 별색은 사진의 망과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4도 분판에서 나온 망과 별색의 자연스런 연결에 주의해서 작업해야 한다는 것을 잊으면 곤란합니다. 망과 연결이 되어있지 않으면 상관이 없습니다만 별색은 원색보다 더 뚜렷하게 표현되기 때문에 4원색의 망과 부자연스럽게 경계를 가지므로 신경을 많이 써야 합니다.

색의 차이는 직접적으로 비교하면 채도차이가 확실히 납니다. 별색이 훨씬 더 분명하고, 부드러운 발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원색에서 뽑은 색은 어딘가 모르게 불안하고 칙칙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같은 색이라고 하여 별색과 원색을 동시에 인쇄해 보면 확연히 그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특히 4원색 중 2가지색의 조합보다 색이 많이 조합된 색(3가지 이상)일 수록 색이 답답해 보입니다. 그래서 바탕면이 넓은 인쇄물일수록 원색에서 뽑은 색보다 별색으로 인쇄하는 편이 바람직합니다.(물론 경비가 허락하는 한에서...)
아니면 굳이 원색에서 해야 할 경우에는 3도 혼합이나 4도 혼합은 피하시는 것이 색을 안정시키는 길 일 것입니다. 그리고 망의 농도도 50% 이하의 혼합보다 50% 이상의 혼합이 안정적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이것은 정답이 따로 있는 곳이 아니라 경험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색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을 것입니다.
예전에는 모든 필름을 손으로 눈으로 보고 판단하였기 때문에 10% 단위로 색차이를 인쇄에서 나타낼 수 있었습니다만 요즘은 그 단위가 훨씬 미세하게 컴퓨터로 구별하는 색범위를 가지기 때문에 예전보다는 원색도 폭넓은 양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별색은 필름, 교정, 인쇄에서 비용이 2배로 지출됩니다.(필름과 인쇄교정비 1도씩 값 추가, 인쇄비1 도값 추가)
게다가 바탕(원고의 반이상)을 별색으로 인쇄할 경우에는 잉크사용이 약3배로 사용되기 때문에 인쇄비가 2배로 청구됩니다.(결과적으로는 원색의 4도값 + 인쇄비 2도값= 6도값)
인쇄질이 많이 고급화 되었다고 하지만 필요 이상의 효과없는 별색은 자제하는 것이 좋겠지요?

별색과 원색의 대비는 시각적으로 큰 무리가 없어 보이지만 별색과 별색끼리의 색대비는 잘못된 대비로 눈에 거슬리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사실 우리가 색채학시간에 배웠던 색대비란 대비는 모두 뚜렷하게 부정적으로 나타난다고 생각하시면 틀림이 없습니다.
왜? 부정적이냐면 색대비를 분명하게 경험한 적이 별로 없기 때문에 활용하는데 미숙하다는 것이죠! 아직 저도 실수 많이 합니다.
물감의 색대비는 인쇄잉크의 색대비하고는 또 다른 면이 있습니다. 원색으로 더 자세히 말하자면 여러 색의 망점으로 만들어진 색끼리의 대비보다 별색의 그대로의 색이 훨씬 색감이 강하기 때문에 그 대비 또한 아주 강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별색은 잘 못쓰면 아주 황당한 경우를 보기 때문에 어렵지만 잘 쓰면 환상적입니다.
여기에서 잠깐 우리가 수업시간에 배운 색대비는 아주 기초적인 대비만 배운 것이고 다룬 색들도 물감의 색이기 때문에 완전한 색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원색의 개념은 우리가 흔히 습관적으로 알고있는 물감의 색과 많은 차이점을 갖고 있습니다. 안료마다 원색으로 나타내는 것도 다르고 안료적 특징을 담은 색샘플조차 현재 우리나라에서 일반 디자이너가 구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예전에도 말씀드렸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처음인쇄를 배울 때 물감의 색을 잊기 위해 무진장 노력했습니다. 인쇄잉크의 색과는 너무도 달랐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현재 여러분은 화면의 색을 잊기 위해 노력하고 있겠죠!

① 색감이 다를 수 있다.
작업소마다 기성 잉크의 제조사가 다르기 때문에 색감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든다면 대한잉크를 사용하거나 동양잉크 사용하느냐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또 같은 제조사에서도 잉크의 종류가 몇 가지 되기 때문에 민감하게 색감의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② 잉크가 용지에 안착되는 압착력이 다르다.
교정지는 무거운 고무롤러가 왔다갔다 하면서 용지에 잉크를 실어 나르게 되는데 본인쇄는 블랑켓의 이미지를 용지에 옮기면서 금속롤러로 한번 더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잉크가 용지에 고르고 안정감있게 안착됩니다.
잉크가 조금은 들떠보이기도 하는 인쇄교정지보다 본인쇄에서는 잉크가 많이 안착되어 보입니다. 그것은 본 인쇄에서 용지에 가하는 압력 때문입니다.

① 크기
인쇄교정이 나오면 원하는 크기가 맞는지 자르거나 접어서 확인합니다.
이때에는 인쇄여분이 알맞게 들어갔는지도 확인하셔야 합니다.
때로는 인쇄용지를 물고 들어가는 방향과 여분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② 반복
돈땡 등 반복하여 판에 앉혔을 때에는 반복의 횟수와 방향, 뒤집어 인쇄하였을 때의 제대로 인쇄되는지도 확인하는 것이 안전하겠죠!

③ 색과 트랩
작업자가 의도한 대로 색이 나왔는지? 혹은 원하는 색이 나왔다 하더라도 밑색이 베어 나왔는지(오버프린트) 그렇지 않았는지 확인 해야 합니다.
때로는 같은 작업에서 같은 색으로 지정하였으나 어느 쪽에는 녹아웃이(밑색이 빠진 상태), 어느 쪽에는 오버프린트되어 색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 살펴봐야 합니다. 같은 먹글씨라도 밑색이 베어나오면 다른 먹색이 된다는 것은 다를 잘 아시죠!
출력소에서는 하리꼬미나 도큐멘트의 여분에서 오는 실수보다 트랩의 실수가 잦은 편입니다. 주의바랍니다.
간혹 실수하여 수정하여 재출력할 때에는 출력소마다 다르겠지만 재출력비의 70%만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④ 터잡기(하리꼬미)순서 등
여분방향과 제본방향, 인쇄부수와 인쇄대수 확인
특히 책일때에는 실제 원고대로 잘라 접지하여 제본하였을 때 쪽수가 순서대로 맞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⑤ 기타
또 별색으로 인쇄하고자 한다면 원하는 별색이 제대로 나왔는지 때로는 코팅 등 후가공을 처리 해야 할 쪽수가 별도로 있다면 별도로 하리꼬미되었는지, 아니면 재단하여 후가공으로 보내야하는지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후가공의 사례)
제가 최근에 경험한 것인데 원래는 32쪽으로 2대로 끝나는 인쇄물인데 표지에 코팅이 되어있어 2대로 하지 못하고 표지만 별도로 반복하여 앉히고 나머지는 돈땡을 사용하여 하리꼬미 되었습니다. 간단하게 생각하고 32쪽을 맞추었는데 굳이 32족으로 하지않아도 될 뻔 했으니까요.
왜 그렇게 했냐면, 코팅의 후가공을 편리하게하기 위해, 같은 방향으로 한번에 들어 갈 수 있게 하기위해 하리꼬미하였습니다.
만일 그것이 부수가 적다면 인쇄 후 재단을 각각하여 표지부분만 코팅 할 수도 있었지만 부수 많았기 때문에 코팅과정의 편의를 무시 할 수 없어 그런 과정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실제 작업한 내용은 필름 갯수는 종류는 5개입니다
이것은 쓸데없이 필름을 더 뽑은 것이 아니라 표지를 분리하여 코팅하기 위한 후가공의 편리성 때문에 하리꼬미를 특별하게 출력한 사례입니다.

요즘은 칼라 프린터기를 교정용으로 쓸 수 있도록 프린터잉크를 최대한 인쇄잉크에 맞게 보정하여 개발해놓은 출력기가 출력소마다 경쟁적으로 비치되어 있습니다.
일일이 인쇄교정을 수작업으로 확인하는 시간과 경비. 수고를 덜기 위해, 때로는 교정 작업자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지는 색농도를 데이터화된 정확한 수치로 고정시킨 이미지세터기를 선호하기도 합니다.
디지털교정기는 제조사별로 다루는 색의 범위가 조금씩 다르겠으나 발색이 강하거나 채도가 높은 색은 인쇄잉크의 색범위보다 디지털잉크가 강하게 보이기 때문에 인쇄잉크가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니까 주의해야 합니다.
예를 든다면 디지털 교정기의 잉크가 형광빛을 많이 함유하고 있고 색배합에 따른 예민성은 인쇄잉크가 좀더 강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데이터를 최대한 맞추어 잉크를 개선하는 등 작업상 편리한 점은 있지만 직접 인쇄잉크 교정에 익숙한 일반 작업자에겐 언젠가는 극복될 사항이지만 아직은 인쇄교정에 100% 대치되어 상용화하기엔 무리가 문제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시스템상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잉크가 아직 따라가 인쇄잉크와 대치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더 자세한 것은 인쇄에서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민감하지 않은 일반 인쇄교정은 디지털교정으로 확인해도 무방하겠으나 인쇄색이 민감하게 접근하는 인쇄물은 주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facebook twitter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