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8-03
연세대학교 송도 캠퍼스는 입지적 특성과 시대적 상황에 맞추어 Residential College로 기획되었다. Residential College의 개념은 대학생활의 목표를 학습에만 두지 않고 기숙사에 학생과 교수가 함께 거주하며 멘토링을 통해 생활지도까지 하는 전인교육 시스템을 말한다. 과거 우리의 성균관과 서원에서도 시행되었던 제도인데 타의에 의한 근대화로 과거와 단절된 우리에게는 생소한 개념이 되고 말았다.
기사제공 | 건축디자인신문 에이앤뉴스
설계총괄 이관표, 이민/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설계담당 허성욱, 이정일, 양승태, 이인심, 최은영, 정주연
건축주 송도국제화복합단지 건설추진단
시공 현대건설
위치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162-1번지
대지면적 614,604.05㎡
건축면적 7,525.32㎡
연면적 57,771.63㎡
규모 지하1층 지상10층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 THK24 투명복층유리, 0.5B점토벽돌 치장쌓기, THK30 화강석버너구이(검정색), THK3 알루미늄 시트
수차례에 걸친 해외 대학답사와 실제 경험자들의 체험을 통한 간접경험을 토대로 Residential College의 핵심시설인 기숙사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었다. 5층의 저층형 기숙사로 실시설계가 완료되고 파일 공사를 마무리할 쯤 기숙사 수용인원을 1,000명에서 2,000명으로 2배 늘려달라는 설계변경 요구가 있었다. 새로운 안을 만들어 내는 것도 어려운 일이지만 기존 설계안의 큰 틀을 유지하며 변경된 프로그램을 수용한다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2배 인원을 수용하기 위해 커지고 높아진 매스의 중압감을 완화시키기 위해 매스를 분절하고 서로를 관입시켰고 층수도 변화감 있게 구성했다. 솔리드와 보이드의 대비와 매스 돌출을 통해 적벽돌 건물의 단조로움을 극복하고 현대적 감각을 심으려 했다. 중정 부분 지하와 1층 사이에 위치한 식당은 기둥이 없는 대공간으로 만들고 지하층과 1층 연결부분을 객석형태로 처리해 식사뿐이 아니라 공연과 모임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매립지 송도의 단조로운 지형에 변화를 주고 싶어 식당의 상부는 입체적으로 처리해 레벨 변화 있는 인공지형을 만들었다.
또한 각 동을 연결하는 2개의 브리지는 동간 연결 기능뿐만 아니라 세미나룸이나 클럽룸 등의 공용시설이 배치돼 학생들 간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곳이고 브리지의 매스는 중정의 장소성과 공간감을 강화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도록 했다. 중정 중심에 위치한 선큰은 지하 부대시설에 자연채광과 환기를 제공할뿐더러 새롭게 구성되는 지형을 더욱 입체적으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도록 했다. 완공까지 어려움이 여러 번 있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주장해 세워진 이곳이 학생들이 대학생활을 즐겁고 건강하게 보낼 수 있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엄앤드이건축 www.aumlee.co.kr